카카오톡 설치파일로 위장해 악성프로그램 설치를 유도하는 해킹메일이 유포되고 있습니다. 장애 관련 문자메시지로 사기(피싱)사이트에 회원들어가기(로그인)를 유도하여 사용자 계정정보를 탈취하는 사이버 공격 가능성도 높은 상황입니다. 이에, 카카오 서비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개인용 컴퓨터와 스마트폰 보안을 강화하고 해킹메일을 열람하거나,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문자를 클릭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 도입 위해 산업계 의견 수렴
정보보호제품 개발업계는 그동안 신기술 및 융・복합제품을 연구・개발하더라도 기존 보안인증제도에서 평가기준이 없어 공공부문 진입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지난 8월에 총리 주재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정보보호 규제개선 추진상황을 발표했으며, 신기술 및 융・복합제품의 보안성 등을 심의하여 국가·공공기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신속확인제를 도입·시행할 계획입니다.
최첨단 과학 이론에 나오는 양자 암호화를 전세계에 상용화를 하는 날이 가까워 왔는지도 모릅니다.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양자암호의 과거표준 들은 더이상 이야기가 되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신기술은 이를 대규모로 상용화가 가능한지가 중요합니다. 과연 양자암호화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될 준비가 되었을까요? 만약 정보보안책임자라면, 이 중요한 변화에 있어서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양자 암호화는 우리가 적은 시간 동안에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더이상 0과 1로만 이루어진 컴퓨팅이 아니라, 그 이진수 사이에 있는 모든 것들도 컴퓨팅을 가능하게 합니다. 우리는 비트가 아닌, 양자비트, 큐비트를 이용하여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계산을 합니다. 사이버공격자들은 암호를 풀 때 암호화에 양자기술을 사용하여 소요시간을 줄입니다. 정부기관들도 동일한 목적으로 양자 컴퓨팅을 사용하는데 이렇게 양자컴퓨팅이 점점 이론이 아닌 현실에 다가오고 있습니다.
정보보안책임자들은 더 이상 '만약' 이라는 말 보다는 "내가 무엇을 언제까지 해야할까?" 의 답을 고민을 하게 됩니다.
- 운영체제 밖에서 모니터링하는 혁신적인 시스템으로 메모리 상의 충돌 및 성능 저하 문제 해결 - 해커나 악성코드의 시야에서 벗어나 에이젼트에 대한 공격 혹은 변조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 - 70개 이상의 위협행동 모델을 학습 완료한 인공지능으로 학습 기간 없이 설치와 동시에 사용